6월 21일(화) 오후 4시에 누리호 2차 발사가 확정되었습니다. 오늘은 이전 발사 때 대체 어떤 문제로 발사에 실패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누리호 발사 실패 원인
반응형
절반의 성공
2021년 10월 21일 발사된 누리호는, 아쉽게도 절반의 성공에 그쳤습니다. 모사체 분리에는 성공하였으나, 정상 궤도에서 이탈하여 아쉬운 실패였는데요. 1차 발사 당시 결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비행 및 고도 도달 : 성공 · 위성 모사체 분리 : 성공 · 위성모사체 궤도 안착 : 실패 |
실패의 원인
당시 발사 실패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헬륨탱크의 고정장치 문제. · 최대 가속도인 4.3G에서의 부력을 고려하지 못함. · 지상에서만 진행했던 실험이라, 비행 상황을 고려하지 못함. |
1차 발사 의의
1차 발사는 실패라기보단 비정상 비행에 가까웠다는 게 당시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실제로 1톤 이상의 페이로드를 우주궤도로 올려 놓을 수 있는 국가가 7개국(미국, 러시아, 중국, 유럽, 일본, 인도, 한국)밖에 없으며, 궤도에 올린 것 자체만으로는 10개국(+이스라엘, 이란, 북한)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나로호와는 다르게 순수 국산기술로 우주로 발사체를 쏘아 올린 것 자체만으로도 의의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누리호 1차 발사 실패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누리호 2차 발사까지 카운트 다운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오늘 발사는 꼭 성공하여, 대한민국이 우주개발 선진국 반열에 오를 수 있는 역사적인 하루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허핌의 시선집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호영 옥주현 고소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6.22 |
---|---|
원숭이두창 국내 첫 감염의심자 어디서 감염되었나? (1) | 2022.06.22 |
김선호 근황 및 논란 총정리 (0) | 2022.06.21 |
하지의 유래와 의미 “낮의 길이는?” (0) | 2022.06.21 |
누리호 2차 발사 확정 “발사 예정 시간은?” (0) | 2022.06.21 |